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닷마을 다이어리> – 가족 해체와 새로운 관계망

by 우리마을 복지이야기 2025. 10. 10.
바닷마을 다이어리로 본 가족 해체와 새로운 관계망의 사회복지적 함의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부모의 이혼과 아버지의 죽음 이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네 자매가 한 집에서 함께 살아가며 새로운 가족 관계를 형성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시각에서 이 작품은 가족 해체 이후에도 새로운 관계망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회복과 발달에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글은 가족 해체와 새로운 관계망 형성의 사회복지적 의미를 탐구한다.

서론: 해체된 가족, 남겨진 삶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세 자매는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으로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중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새롭게 알게 된 이복 여동생과 함께 살게 되며, 가족 해체로 인한 상실을 새로운 관계 속에서 메워나간다. 이는 가족이 혈연이나 전통적 형태에만 국한되지 않고, 선택과 관계 형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복지적 시각에서 이는 가족 해체 이후 아동과 청소년이 경험하는 상실을 지지하는 관계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론: 가족 해체와 새로운 관계망의 사회복지적 분석

첫째, 가족 해체는 상실과 불안을 초래한다. 부모의 이혼과 죽음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정서적 불안과 애착 손상을 남긴다. 사회복지사는 이 과정에서 아동이 겪는 상실을 치유할 수 있도록 상담과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관계망은 회복의 자원이 된다. 영화 속 자매들은 서로 다른 배경에도 불구하고 함께 살아가며 상호 지지를 통해 회복력을 키운다. 사회복지사는 친족, 친구, 지역사회를 포함한 대체적 관계망을 강화하여 아동이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가족의 개념은 확장되어야 한다. 전통적 가족 형태가 해체되더라도, 선택적 가족과 다양한 공동체적 관계가 새로운 지지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다변화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넷째, 공동체는 아동·청소년의 회복을 돕는 중요한 환경이다. 자매들이 마을 공동체 속에서 지지를 받으며 성장하는 모습은 공동체가 개인의 삶에 어떤 회복적 자원이 되는지를 보여준다.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가족 해체 아동이 고립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결론: 가족 해체를 넘어 새로운 관계로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가족 해체가 남긴 상처를 새로운 관계망 속에서 치유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가족이 단순히 혈연으로만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과 지지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복지의 과제는 가족 해체 이후 개인이 상실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관계망을 통해 회복과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결국 이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는 “가족은 해체될 수 있지만, 관계와 지지는 새롭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사회복지가 지향해야 할 중요한 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