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와 뼈> – 이민자의 정체성 갈등과 사회적 낙인

by 우리마을 복지이야기 2025. 9. 25.
피와 뼈로 본 이민자의 정체성 갈등과 사회적 낙인의 사회복지적 함의 영화 <피와 뼈>는 재일조선인 1세대 인물의 삶을 중심으로, 일본 사회 속에서 이민자가 겪는 정체성 갈등과 사회적 낙인의 문제를 강렬하게 드러낸다. 사회복지사의 시각에서 이 작품은 이민자 개인의 폭력적 삶을 단순한 개인적 선택이 아닌 구조적 차별과 사회적 배제의 산물로 해석하게 하며, 사회적 낙인이 이민자 정체성과 삶의 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성찰하게 한다. 본 글은 영화 속 사례를 통해 이민자의 정체성 갈등과 사회복지적 개입 과제를 탐구한다.

서론: 낯선 땅에서의 삶과 정체성의 흔들림

영화 <피와 뼈>의 주인공은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노동자로 살아가며, 빈곤과 차별, 소외 속에서 거칠고 폭력적인 삶을 이어간다. 그는 일본 사회에 동화되지도, 조선인 정체성을 온전히 지키지도 못한 채 정체성의 갈등 속에서 방황한다. 이는 이민자가 새로운 사회에서 적응하면서 겪는 이중적 압박과 사회적 배제를 잘 보여준다. 사회복지적 시각에서 이는 단순한 개인적 문제를 넘어 구조적·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할 과제다.

본론: 이민자의 정체성 갈등과 사회적 낙인의 사회복지적 분석

첫째, 사회적 낙인은 이민자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영화 속 주인공은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끊임없이 차별받고, 이는 분노와 폭력적 삶의 방식으로 이어졌다. 사회복지사는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차별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권리 옹호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둘째, 세대 간 정체성 갈등이 존재한다. 1세대는 고향을 잃은 채 타국에서 차별을 견뎌야 했고, 2세대와 3세대는 동화와 전통 사이에서 갈등한다. 사회복지사는 다문화가정 지원, 이주민 세대별 상담, 문화 정체성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

셋째, 빈곤과 배제는 범죄와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인공의 삶은 단순히 개인의 성격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빈곤과 차별이 만들어낸 산물이었다. 사회복지사는 이주민의 주거, 고용, 교육 기회를 확대해 범죄와 사회적 일탈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 이민자를 주변화시키는 사회는 갈등을 심화시킨다. 사회복지사는 다문화 감수성 교육, 지역사회 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이민자와 토착민이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결론: 정체성과 존엄을 지키는 사회로

영화 <피와 뼈>는 이민자의 거칠고 폭력적인 삶을 통해, 사회적 낙인과 정체성 갈등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왜곡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차별과 역사적 맥락이 낳은 사회적 문제다.

사회복지의 과제는 이민자가 차별과 낙인 속에서 고립되지 않고, 존엄과 정체성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권리 옹호, 사회적 통합 정책, 다문화 지원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결국 <피와 뼈>가 던지는 메시지는 “이민자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은 개인의 힘이 아니라 사회적 연대와 제도의 힘”이라는 점이며, 이는 사회복지가 지향해야 할 핵심 가치다.